순교, 신앙과 평화, 프란치스코

2024. 7. 10. 23:55해외뉴스

이미지출처 :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은 최근 삼종기도 말미에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발생한 충돌과 학살을 언급하며, 신앙에 대한 증오로 목숨을 잃은 그리스도인들을 순교자로 칭송했다. 이는 종교적 신념을 고귀한 희생으로 미화하며, 종교적 갈등과 폭력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피해자를 양성하며, 생명의 소중함을 간과하게 만든다.

 

먼저 순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https://namu.wiki/w/%EC%88%9C%EA%B5%90

 

평화를 외치며 순교를 인정하는 종교적 미화와 그 문제점

 

교황의 발언은 순교를 신앙의 절대적 가치로 삼는 가톨릭 교회의 전통을 반영하지만, 이는 몇 가지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순교를 강조하는 문화는 평화적 해결과 타협의 가능성을 차단한다. 종교적 신념을 지키기 위한 희생을 절대화하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나 협상이 어려워진다. 이는 종교적 폭력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세 십자군 전쟁 동안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순교를 선택했으며, 이는 종교적 갈등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러한 역사적 사례는 순교가 종교적 폭력을 부추길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 615일 민주콩고의 북키부주에서 성전주의자(지하디스트)를 자처하는 반군의 잇따른 공격에 항의하기 위해 주민들이 거리로 나선 후 폭동으로 최소 7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소식이 보도됐다. 알카에다와 다에시(Daesi, 자칭 이슬람국가) 계열 단체인 민주군사동맹(ADF)은 앞서 루베로주 소재 마을을 공격해 8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데 이어 최근엔 마이켄고 마을을 공격해 40명 이상의 인명을 앗아갔다

*출처(https://www.vaticannews.va/ko/pope/news/2024-06/papa-francesco-post-angelus-congo-massacri-beato-pace-preghiera.html)

 

사망한 사람들을 순교라 하며 그들의 그릇된 죽음이 신앙에 대한 증거로 목숨을 잃은 그시르도인의 희생이 한결 같은 마음으로 용감하게 복음을 증거하도록 가르쳐 준다 교황의 발언은 생명의 소중함을 강조하기보다는 종교적 신념을 위해 희생을 미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피해자를 양성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종교적 갈등과 폭력을 부추길 수 있다.

 

현대의 사례로, 중동 지역의 종교적 분쟁에서 많은 사람들이 신앙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잃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종교 지도자들이 순교를 미화하는 대신, 평화적 해결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순교를 강요하는 가톨릭 사례

 

종교 지도자는 평화와 화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순교를 미화하는 것은 종교적 갈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새로운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교황의 발언은 종교적 희생의 미화보다는 생명의 존엄성과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교황의 사도적 방문은 종교적 화합과 평화를 촉진하는 기회로 활용되어야 한다. 방문을 통해 현지인들과 직접 소통하고,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순교에 대한 강조는 종교적 신념의 중요성을 반영하지만, 이는 생명의 소중함과 평화적 해결을 간과할 위험이 있다. 종교 지도자는 평화와 생명의 존엄성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하며, 종교적 갈등과 폭력을 부추기는 언행을 지양해야 한다. 종교적 희생의 미화는 피해자를 양성할 뿐 아니라, 새로운 갈등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1980년대 남미의 해방 신학 운동에서도 순교자가 많았다. 이들은 억압과 불의에 맞서 싸우다 목숨을 잃었지만, 이러한 희생이 궁극적으로 사회의 평화를 증진시키는 데 얼마나 기여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해방 신학 운동이 사회 정의를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순교자들의 희생은 때때로 폭력과 갈등을 더욱 악화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순교를 절대적 가치로 삼는 것이 생명의 존엄성과 평화적 해결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종교 지도자는 피해자를 양성하지 말고 역사적이고 이성적인 논리를 바탕으로, 순교보다는 평화와 화해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