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WYD) 세금 지원 논란

야홍홍 2025. 3. 14. 19:59

출처 : licas news

1. 정교분리 원칙과 종교 행사에 대한 공공 예산 지원

대한민국 헌법 제20조는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라고 명시하여 정교분리 원칙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청년대회는 가톨릭 교회가 주최하는 국제 종교 행사이기 때문에, 여기에 국가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헌법 정신에 위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실제로 한국 국회에서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 지원을 위한 특별법안이 발의되자, 이는 "노골적인 종교 편향 행정"이라며 위헌 소지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대회 자체가 고해성사와 미사 등 가톨릭 예배를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특정 종교 행사에 대한 국가 지원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번 특별법안은 여야 의원 약 70명이 공동 발의한 것으로, 대회 지원을 위해 세금 감면과 시설비 지원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지원위원회가 설치되어 범정부 차원의 지원이 명문화되면서, 이는 국가가 특정 종교 행사를 지원하는 것으로 해석되었고, 정교분리 원칙을 위반했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불교계 등 다른 종교 단체들은 “특정 종교를 위한 특별법 제정은 어불성설”이라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선례가 없는 한국의 특별법 제정 시도는 헌법에 어긋날 수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2. 시민들에게 돌아오는 직접적인 혜택 부족

정부의 지원이 논란이 되는 또 다른 이유는, 세계청년대회가 일반 시민에게 미치는 혜택이 미미하다는 점입니다. 이 대회는 주로 가톨릭 신자 청년들이 모여 신앙을 다지고 교류하는 종교적 성격의 행사이기 때문에, 가톨릭 신자가 아닌 대다수의 국민은 참여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행사 기간 동안 교황 방문과 대규모 미사 등의 이벤트가 있겠지만, 이는 종교적 의미가 강한 행사로, 대부분의 국민에게는 단순한 볼거리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또한, 서울 도심과 주요 지역에 수십만 명의 인파가 몰리면 교통 혼잡과 소음 등의 불편이 우려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이 얻는 혜택은 거의 없고, 행사로 인해 발생하는 불편함은 실질적으로 시민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세계청년대회는 그럴듯한 이름을 가졌지만 사실상 가톨릭 신앙 행사일 뿐”이라고 비판하며, 국민 세금이 종교 행사에 사용되는 것에 대한 반감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공공 예산을 투입하면서 국민 전체가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이나 공공서비스 향상이 없다는 점에서, 이러한 정부 지원은 타당성을 지니기 어렵다는 주장입니다.

3. 세계청년대회의 경제적 효과 주장과 그 근거의 타당성

세계청년대회의 경제적 효과를 근거로 정부 지원을 정당화하는 주장이 있습니다. 2027 서울 WYD 조직위원회는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연구팀을 통해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세계청년대회가 한국 경제에 미칠 총 생산 유발효과가 약 11조 3,698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조 5,908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고용 유발효과는 24,725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경제적 효과가 상당할 것이라는 주장은 대회 지원의 중요한 명분으로 강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제 효과 추정치는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해당 연구는 WYD 조직위의 의뢰로 이루어진 것이라 행사 추진에 유리한 결과가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연구의 목적이 “정부 지원의 타당성에 대한 근거 마련”이었음을 밝힌 만큼, 수치가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또한 직접적인 경제 효과뿐 아니라 간접적인 효과로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나 사회 갈등 비용 저감 등 정량화하기 어려운 항목까지 포함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금액이 실제로 실현될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4. 국가 재정에 대한 부담

세계청년대회에 대한 정부 지원은 국가 재정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대규모 국제 종교 행사인 만큼, 행사 준비와 기반 시설 구축, 보안 및 운영 등에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것입니다. 또한 특별법이 추진하는 세제 혜택이나 시설비 지원은 정부 재정에 직접적인 부담을 주게 됩니다. 한정된 예산을 특정 종교 행사에 사용하는 것이 공공 서비스나 복지 분야의 예산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재정 상황을 고려할 때, 정부 부채가 증가하고 세수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종교 행사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 합당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국민들이 자신들의 세금이 종교 행사에 쓰인다는 사실에 반발할 가능성도 있으며, 경제적 효과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재정 투입이 많아지면 재정 효율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천주교회가 자부담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 의존하는 점도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교황청과 국내 천주교회는 상당한 자산과 전 세계 신도의 기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자체 재원으로 행사를 치르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만약 정부가 이번 대회를 지원하게 되면, 다른 종교 단체들도 비슷한 요구를 할 가능성이 있어, 재정 지출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우려가 있습니다.

 

2027년 서울 세계청년대회에 대한 공공 예산 지원은 여러 측면에서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정교분리 원칙을 훼손하면서 국민 세금을 투입하는 것이 정당한지, 그리고 대다수 시민이 체감할 수 없는 행사에 막대한 예산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논리는 경제적 효과나 국제 교류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지만, 이러한 주장이 국민적 공감을 얻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결국 이번 논란은 국가 예산의 사용 우선순위와 공공성의 원칙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게 만드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